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3월 둘째 주 뉴스 요약, 경제 초보가 배울점 및 키워드 정리

by 코인백비 2025. 3. 18.
반응형

 

가상화폐

 

뉴스 요약

 

📌 첫 번째 

트럼프 행정부 내 주요 인사들이 가상화폐에 상당한 투자를 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백악관 가상화폐 및 AI 정책 책임자인 데이비드 색스는 부임 전 2억 달러(약 2900억 원) 이상의 가상화폐 관련 자산을 매각했다. 매각 대상에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솔라나뿐만 아니라 코인베이스, 로빈후드 주식, 가상화폐 기반 인덱스 펀드 등이 포함됐다. 색스는 정책 결정자로서 이해 충돌 가능성을 의식해 매각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그의 회사인 크래프트 벤처스는 여전히 일부 가상화폐 관련 펀드에 투자 중이다. CNBC는 트럼프 대통령을 비롯해 여러 행정부 인사들이 가상화폐 및 관련 산업에 투자하고 있으며, 정책이 그들의 개인적 이익과 연관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미국 내에서는 공직자들의 사적 이익 추구 가능성에 대한 논란이 커지고 있다.

 

📌 두 번째 

트럼프 대통령 가족이 세계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인 바이낸스의 미국 법인 지분 확보를 논의 중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바이낸스는 창업자인 자오창펑 전 CEO가 자금세탁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벌금을 낸 후, 미국 내 시장 점유율이 27%에서 1%로 급락했다. 트럼프 측근과의 협력을 통해 바이낸스가 미국 시장에 재진입하려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자오창펑이 트럼프 행정부로부터 사면받으면, 바이낸스의 사업 확장이 용이해질 것으로 보인다. 바이낸스의 미국 법인 지분 투자는 트럼프 가족이 직접 하거나, 트럼프가 설립한 가상화폐 벤처 회사를 통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사면 권한과 가족의 사업 이익이 충돌하면서, 전례 없는 이해충돌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 바이낸스는 최근 아부다비 AI 투자회사로부터 2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며 사업 확장을 시도하고 있다.

 

📌 세 번째 

최근 가상자산 시장이 하락하는 가운데, 비트코인과 스테이블코인의 점유율은 증가한 반면, 이더리움과 솔라나 등 주요 알트코인의 점유율은 감소했다. 비트코인은 지난해 12월 54%에서 60.6%로 상승했고, 스테이블코인 테더(USDT)도 점유율이 증가했다. 반면, 이더리움과 솔라나는 각각 3.95%p, 0.31%p 감소했다. 이러한 변화는 미국 연준의 금리 동결과 거시경제 불확실성으로 인해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해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한, 이더리움은 레이어2 활성화로 인해 네트워크 수수료 수익이 감소하며 성장에 제약을 받고 있고, 솔라나는 밈코인 폭락 사건으로 인해 투자 심리가 위축되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정부의 정책이 비트코인에 유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있어, 시장 내 자금이 비트코인으로 집중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현재 시장에서는 추가 유동성이 부족한 상황이며,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비트코인 비중을 늘리고 알트코인을 줄이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  경제 초보가 배운 점과 적용할 점

  1. 가상화폐 시장의 변동성과 정책의 중요성: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변화가 가상화폐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배웠다. 정부 정책에 따라 특정 자산이 급등하거나 하락할 수 있으므로, 경제 뉴스를 꾸준히 체크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2. 이해 충돌과 공직자들의 투자 전략 : 공직자들이 가상화폐를 보유한 채 정책을 결정하는 것은 이해충돌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투자할 때 특정 기업이나 정책과 관련된 이해관계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3. 안전자산 선호 심리 : 경제가 불안정할 때 투자자들은 상대적으로 안전한 자산(비트코인, 스테이블코인 등)으로 이동한다는 점을 배웠다. 따라서 투자를 할 때 시장의 흐름을 읽고, 자산 포트폴리오를 조정하는 전략을 고려해야 한다.
  4. 장기적인 시장 분석의 필요성 : 단기적인 시장 변동에 휩쓸리기보다는 장기적으로 시장을 분석하고 투자하는 것이 중요하다. 알트코인은 단기적으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할 가능성이 높아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5. 금리와 시장의 관계 이해하기 : 미국 연준의 금리 동결이 가상화폐 시장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금리 정책이 투자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공부하고, 이를 기반으로 현명한 재테크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 

(보충설명) 미국 연준이 금리를 동결하면 돈을 빌리는 비용이 그대로 유지된다. 금리가 낮아지면 사람들이 더 쉽게 돈을 빌려 투자할 수 있다. 반대로 금리가 높아지면 돈을 빌리기 어려워져 투자가 줄어든다. 이번에 연준이 금리를 동결하면서 돈을 빌리는 부담이 그대로 유지되었다. 그 결과, 사람들이 새로운 투자를 신중하게 하게 된다. 가상화폐 시장도 영향을 받는다.
특히, 위험성이 높은 알트코인보다는 안전하다고 여겨지는 비트코인으로 자금이 몰렸다. 그래서 비트코인의 시장 점유율은 올라갔고, 알트코인의 점유율은 줄어들었다. 결국, 금리 정책 하나가 가상화폐 시장 전체의 흐름을 바꿀 수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 15개의 키워드 및 설명

  1. 가상화폐 (Cryptocurrency):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자산으로, 대표적으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있다.
  2. 비트코인 (Bitcoin): 가장 안정적인 가상자산으로 ‘디지털 금’이라 불리며, 시장 점유율이 높다.
  3. 이더리움 (Ethereum): 스마트 계약 기능을 가진 대표적인 알트코인으로, 네트워크 수수료(가스비)가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요소다.
  4. 솔라나 (Solana): 빠른 속도와 낮은 수수료로 유명한 블록체인 프로젝트이지만, 최근 투자 심리가 위축되었다.
  5. 스테이블코인 (Stablecoin): 미국 달러 등 법정화폐와 연동된 가상화폐로, 가격 변동성이 낮아 안전자산으로 인식된다.
  6. 자오창펑 (Changpeng Zhao, CZ): 바이낸스 창업자이자 전 CEO로, 자금세탁 혐의로 법적 문제를 겪었다.
  7. 바이낸스 (Binance): 세계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로, 미국 규제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8. 미국 연준 (Federal Reserve, Fed): 미국의 중앙은행으로, 금리 정책이 가상화폐 및 금융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9. 레이어2 (Layer 2):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추가적인 블록체인 솔루션.
  10. 밈코인 (Meme Coin): 인터넷 유행을 기반으로 한 가상화폐로, 가격 변동성이 크고 투기성이 강하다.
  11. 시장 점유율 (Market Share): 특정 코인이나 기업이 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12. 금리 동결 (Rate Freeze):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상하거나 인하하지 않고 유지하는 정책으로, 금융시장에 큰 영향을 미친다.
  13. 유동성 (Liquidity): 시장에서 자산을 빠르게 사고팔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하며, 유동성이 부족하면 가격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

 

반응형